'제발 우한으로 들어가게 해주세요' 우한폐렴에도 이들의 절규에는 이유가 있다

한 젊은 부부가 열차에서 내립니다. 기차 승강장은 쓸쓸하기만 하죠. 이들은 40일 만에 자신이 사는 곳으로 돌아왔습니다. 바로 코로나19의 진원지, 우한입니다.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질환이 발병한 이후 1월 23일 새벽 중국 정부에서는 전격적으로 우한시 봉쇄를 발표했습니다. 우한에서 출발, 도착하는 항공편이 중단되는 것은 물론, 기차는 우한의 주요 역을 무정차 통과했죠. 우한 바깥으로 이어지는 도로에는 검문소가 들어서고 혹시라도 몰래 우한을 빠져나가는 이들이 있는지 삼엄하게 감시했습니다. 

시민들의 불안감은 극에 달했습니다. 마트의 진열장은 텅텅 비었고,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을 섰죠. 버스, 전철의 운행이 중단되고 병원에 줄을 서기 시작했죠. 아비규환이었습니다. 이는 병원 내 집단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병상도 모자랐습니다. 집에서 비극적인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우한은 그야말로 '통곡의 도시'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이 '통곡의 도시' 안으로 자발적으로 들어가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의사, 간호사 등 의료인의 사명감으로 가는 경우가 아닙니다. 바로 우한에 살고 있던 주민들입니다. 이들은 왜 우한으로 들어가는 것일까요? 우한으로 들어가는 것에 아무런 문제는 없는 것일까요?

중국의 바이러스 확산 속도가 둔화되고 후베이성 봉쇄 조치 이후 성 밖에서 살고 있는 우한 주민들이 이제는 우한이 어느 정도 안전하다고 믿으며 서서히 고립된 가족들에게 가는 사례가 많아졌다는 소식입니다.

30세의 여성인 우한 주민 자오씨는 23일 우한이 봉쇄되었을 때 남편과 함께 창춘에 있는 친척 집을 방문 중이었다고 합니다. 이때 다른 가족들은 우한에 살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가족들 걱정에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합니다. 또한 이들은 우한 출신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중국 내 다른 지역에서 차별을 받아 왔다고도 하네요. 이들은 거의 향수병이 걸릴 지경이라고 하는데요. 우한에 돌아오기 위해 기차표를 예약했지만 세 번 취소 당한 후 이제야 우한으로 돌아왔다고 합니다.

이 부부가 우한으로 돌아온 이유는 향수병 뿐만이 아닙니다. 우한으로 돌아온 많은 우한 사람들이 이제는 우한이 더 안전하다고 믿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제는 한국, 일본 등에서 들어온 사람들이 오히려 코로나19를 퍼트릴 수 있고, 변종 된 코로나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기에 오히려 상황이 안정되고, 외부인들이 들어올 수 없는 우한으로 오는 것이라고 합니다. 

봉쇄된 도시, 우한 그리고 후베이성. 그러나 현재는 봉쇄 정책이 다소 완화되었다고 합니다. 2월 초 새로운 제도가 발표되었는데요. 지역 주민이 건강 검진을 통과했다면 후베이성으로 들어갈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후베이 주민들의 대다수는 후베이성, 심지어 자신의 마을을 떠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즉, 후베이성으로 들어갈 수는 있어도 나올 수는 없는 것이죠. 

바이러스의 진원지가 더 안전하다는 것, 심지어 바이러스의 진원지에 자발적으로 들어간다는 것. 놀라워 보이지만 그리 놀랄 일 만은 아닙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현재 중국인 불법 체류자들은 한국에서 코로나19 감염 공포에 시달리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한국을 떠나 바이러스의 진원지인 중국으로 들어가기를 희망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오히려 코로나19가 한풀 꺾인 중국이 안전하다는 것이겠죠. '탈 코리아 러시'는 법무부의 자진 출국 신고 제도가 한몫을 한 것으로 판단되는데요. 법무부는 최근 코로나19의 사각지대를 없애겠다며 오는 6월까지 자진출국신고를 하는 불법 체류 외국인들에게 범칙금을 면제해 주고, 재입국을 사실상 보장해주기로 했습니다. 

한편 중국은 자국 내 코로나19가 진정세라고 판단하고 있으며, 시민들을 안심시키고 있는데요. 완치 판정을 받아 퇴원한 사람들이 다시 증세를 보여 입원하고 일부 사망하는 사례까지 나오며 중국 의료 체계의 신뢰성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확진자 대비 완치자 비율이 1.5% 정도 되는데, 중국은 무려 65%가량 되기에 중국 통계 자체를 신뢰할 수 없다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되는 중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