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난리 났다는 물 위에서 춤추는 중국 소녀

높은 곳에 동아줄을 고정시켜놓고 줄 위에 올라 묘기를 부리는 '외줄 타기'를 아시나요? 이는 우리나라의 민속춤 놀이입니다. 중국에도 비슷한 기예가 있는데요. 바로 '독죽표'입니다. 독죽표는 물 위에 대나무 하나를 띄워 이 위에서 여러 가지 동작을 하는 것인데요. 이는 진한시대에 시작되었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현지인들이 강을 건너는 교통 방식이기도 했죠. 현재 독죽표는 묘족 등 소수민족의 오락이자 경기 프로그램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얼마 전 이 독죽표를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한 여성의 사연이 해외까지 알려지며 큰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과연 어떤 독죽표를 선보였을지 함께 만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류라는 이름을 가진 한 여성은 7살 때부터 독죽표를 배웠습니다. 이를 배우게 된 계기는 바로 그녀의 할머니 때문이었는데요. 할머니는 독죽표를 습득한 기예자였는데요. 어릴 적부터 왜소하고 몸이 약한 양씨의 체력을 길러주기 위해 독죽표를 시킨 것이었죠. 사실 독죽표를 하기 위해서는 물에 둥둥 떠있는 대나무 위에서 균형을 잡고 서 있는 것에서 시작해야 하는데요. 이는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기에 양씨는 노력에 노력을 거듭해야 했습니다.

그녀는 대나무에 올라가서 자세를 잡고, 물에 빠지고, 다시 올라서서 자세를 잡고 물에 빠지기를 거듭한 이후에야 대나무 위에서 온전히 서있을 수 있었습니다. 양씨는 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이나 독죽표에 매달렸습니다. 더운 여름에는 햇빛이 너무 뜨겁고 겨울은 말할 것도 없이 추웠겠죠. 계속 대나무에서 떨어지며 다리에는 멍이 들기 일쑤였고, 힘들고 포기하고 싶었지만 할머니는 '고통을 참고 또 참다 보면 좋은 날이 올 것'이라며 양씨를 격려했죠. 양씨에게는 끈기와 인내심도 있었는데요. 이에 연습은 계속되었고, 실력은 나날이 늘어갔습니다.

그리고 양씨는 남들과는 다른 독죽표를 선보이고 싶다고 생각했고, 중국 전통 무용, 현대 무용 발레 등을 이 독죽표에 접목시키고 싶었습니다. 이에 양씨는 이 무용을 열심히 배웠는데요. 그러나 이를 독죽표에 접목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죠. 예를 들어 발레용 슈즈는 석고로 만들어졌기에 물에서 신기에는 어려움이 있었고, 이에 발레 신발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비닐봉지 등을 동원해야 했다고 하네요. 그러나 양씨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독죽표에 갖가지 스타일의 무용을 접목시켜 그녀만의 스타일을 만들었죠.

이후 양씨가 세계적으로 알려진 것은 한 영상 때문이었습니다. 이 영상은 미국 CNN이 창립한 GBS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것이었는데요. '중국에서 온 대나무 무용 예술'이라는 제목으로 방영되었으며 이는 페이스북에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후 코로나19 시기에는 자신의 공연 영상을 더우인에 올렸는데요. 이에 또 한 차례 큰 화제가 되며 많은 팬들을 모으게 되었죠. 

현재 양씨는 선녀 같은 의상과 메이크업, 그리고 헤어스타일을 하고 마치 물 위에 떠 있는 백조와 같은 자태로 아름다운 공연을 선보이고 있는데요. 현재 독죽표 무형문화재 전수자이기도 하며 앞으로 자신의 후계자를 양성시키겠다는 포부도 드러내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