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들은 노후준비 안 한다?' 부자들이 절대 돈 쓰지 않는 것 TOP 5

부자가 되는 상상을 해본 적이 있으신가요? 여러분은 부자가 된다면 어디에 돈을 쓰고 싶으신가요? 아마 많은 사람들이 집을 마련하고, 값비싼 자동차와 유명한 명품 브랜드 제품을 구매하며, 럭셔리한 여행을 떠나는 것을 꿈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진짜 부자들은 이런 것에 돈을 쓰지 않는다고 합니다.

오늘 RedFriday에서는 부자들이 아무리 돈이 많아도 절대 하지 않는 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충동구매

워런 버핏은 포브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산다면 곧 필요한 물건을 팔아야 할지도 모른다'는 명언을 남겼습니다. 즉 이들은 필요하지 않은 것을 충동적으로 구매하지 않고 계획적인 소비를 하는 것이죠. 물론 부자들이 돈을 쓰지 않는다는 말이 아닙니다. 이들은 값비싼 물건이라도 계획을 한 후 소비를 하고, 변덕스럽게 내 마음에 든다고 해서 물건을 사는 행동을 하지는 않습니다.

부자들의 이런 행위를 '합리적 소비'라고 부르며 이런 합리적 소비를 통해 새는 돈을 막을 수 있습니다.

 

2. TV 채널 및 비디오 게임

하루 종일 TV 앞에 앉아 있어서는 부자가 될 수 없습니다. 이에 이들은 여러 가지의 TV 채널을 볼 수 있는 패키지나 최신 비디오 게임이 돈을 쓰지 않죠. 닐슨의 2015년 데이터에 따르면 연간 소득이 25,000달러 미만인 가구의 성인은 연간 소득이 75,000달러 이상인 가구의 성인보다 TV, 비디오 게임 또는 라디오에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고 하네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소득층이 더 많은 전자기기와 TV 채널 등을 보유하고 있을 거라 예상했지만 그렇지 않았던 것이죠. <인생을 바꾸는 부자 습관>의 저자 토마스 콜리는 부자들의 67%가 TV를 보지 않는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3. 과도하게 비싼 집

우리나라에서는 돈이 생기면 가장 먼저 하는 것이 '내 집 마련'입니다. 또한 부동산은 '실패하지 않는 투자'로 생각되기에 과도한 레버리지를 이용해 아파트 등의 부동산을 구매하는 경우도 있죠. 그러나 미국이나 유럽의 부자들은 대부분 이런 생각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바로 막대한 돈을 들여 값비싼 집을 사는 것보다는 돈을 다르게 활용해 더 큰돈을 벌겠다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U.S. 뉴스앤월드리포트에 따르면 워런 버핏은 세계에서 손가락 안에 꼽히는 재력가이지만 아직까지 1958년에 31,500달러에 구입한 집에서 살고 있다고 하네요.

심지어 집을 사지 않고 남의 집을 렌트해서 사는 경우도 있는데요. 스타들이 살고 있는 집을 다루는 TV시리즈 <맨션 앤 밀리어네어스>의 진행자 마이클 코벳에 따르면 '현재 부자들 사이에서는 집을 사는 것보다 월세를 내고 집을 빌리는 것이 더욱 유행하고 있다'라고 하는데요. 이는 소득세, 재산세, 보유세 등 세금 문제도 얽혀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4. 연체료

많은 사람들이 연체료 내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부자들은 특히 연체료 내기를 매우 아까워한다고 하네요. 이에 부자들은 주택담보대출, 자동차 구입비, 신용카드 결제비, 보험 등 모든 계좌에 대해 자동이체를 설정하고 있죠. 사실 연체료는 적다면 적은 돈일 수도 있는데요. 이런 사소한 것에서 필요 없는 지출을 줄이는 것이 부자들의 습관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5. 은퇴 자금

보통 사람들은 돈을 벌자마자 은퇴 자금을 준비합니다. 생각보다 돈을 벌지 못하는 시기가 길기 때문입니다. 이에 연금, 적금 등으로 노후를 준비하곤 하죠. 그리고 많은 전문가들도 '노후 준비'에 대해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부자들의 경우 상황이 다릅니다. CNBC에 따르면 부자들, 특히 자수성가한 백만장자들은 은퇴를 할 계획이 없다고 하는데요. 이들은 은퇴를 하지 않거나, 은퇴의 시점이 보통 사람들과 다릅니다.

바클레이즈 웰스의 2010년 연구에 다르면 백만장자의 54%가 은퇴 없이 일하기를 바라며 순자산 1,500만 달러를 자진 사람들 중 60%는 '나이에 관계없이' 일을 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이에 이들에게 은퇴자금은 크게 필요 없는 것이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