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Friday.co.kr
비즈니스 레드프라이데이
명품 아이템이 점점 더 대중화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명품 아이템이 눈을 뜨고 구매를 원하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비용상이 제약으로 인해 자신이 원하는 명품을 모두 구매할 수는 없죠. 그리고 이런 틈새시장을 노리는 곳이 있습니다. 바로 명품 대여 업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몇 개의 명품 대여 업체가 호황을 누리고 있는데요. 격식 있는 자리에 한 번 들 명품 가방을 구매하기보다는 대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뿐만이 아닙니다. 미국은 명품 대여의 선도적인 시장인데요. 2009년 설립된 명품 대여 업체 '렌트 더 런웨이'는 최근 14억 달러의 가치 평가를 받으며 나스닥 주식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중국에서도 명품 대여가 MZ 세대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실제로 베인앤컴퍼니..
더 읽기
2년여간 이어져온 코로나19. 소비는 위축되고 여행 등 일부 업계는 사장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급성장한 분야도 있는데요. 명품도 그중의 하나입니다. 해외여행이 금지되며 사람들은 소비 분출구를 찾았고, 명품이 제대로 수혜를 입은 것이죠. 우리나라만 이런 현상을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중국 또한 명품에 대한 관심이 뜨겁게 타오르고 있습니다. 중국 세계 명품 시장 점유율은 2019년 11%에서 2020년 20%로 약 두 배 증가했는데요. 세계 명품 시장 판매액이 지난해 23% 감소한 것을 고려한다면 매우 놀라운 수치입니다. 컨설팅 회사 베인 앤드 컴퍼니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 명품 판매액은 3천500억 위안, 약 59조 5,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고 하네요...
디자인 레드프라이데이
올해 중국에서는 글로벌 브랜드에 대한 대규모 불매운동이 벌어졌습니다. 바로 전 세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중국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인권 탄압을 규탄하는 '신장 면화 보이콧' 운동 때문이었죠.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에서는 인권 탄압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신장산 면화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이는 중국인 소비자들의 공분을 산 것이었습니다. 영국의 럭셔리 브랜드 버버리도 그중의 하나입니다. 이 사건이 일어난 3월 말 당시 버버리의 중국 앰버서더로 활동하던 배우 저우동위와 송웨이롱은 버버리와의 협력을 중단하겠다며 단번에 버버리와 결별을 선언했고, 중국의 네티즌들은 버버리를 비난하며 격렬한 불매 의사를 밝혔습니다. 중국 인기 모바일 게임인 '아너오브킹스'에서는 캐릭터들이 착용할 수 있는 버버리 의상이 삭제되기도 ..
럭셔리 제품 분야에서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히 높습니다. 중국인들의 소득 수준이 높아지고 이들의 구매력이 점점 강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지속될 것 같은데요. 이에 많은 럭셔리 브랜드에서는 중국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죠. 이런 가운데 중국의 럭셔리 시장에 대한 분위기를 잘 보여주는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럭셔리 브랜드의 시가총액, 인지도, 매출 등을 종합해 숫자로 나타내는 '인덱스 무브'입니다. 이는 크레인셰어와 징파이낸스가 공동으로 산출하는 지표인데요. 얼마 전 이 지표에 대대적인 지각 변동이 일어나며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덱스 무브 상위 10개 브랜드는 모두 유럽과 북미의 브랜드였습니다. 애플, 몽클레어, 루이비통 그룹, 구찌를 ..
지금으로부터 10년 전만해도 전체 명품 시장에서 중국 소비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전 세계 명품 소비 2위 국가가 되었죠.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 해 380억 달러(약 42조원)을 명품 구매에 썼다고 하는데요. 이는 1년 전의 294억 달러(약 32조원)보다 늘어난 수치입니다. 현재 명품 소비 1위 국가는 미국인데요. 미국의 명품 소비는 전년도보다 22%나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계속해서 이어지며 곧 중국이 명품 소비 1위 국가가 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습니다. 과연 중국 명품 소비의 저력은 무엇일까요? 바로 중국 소비자들이 점점 부유해지기 때문입니다. HSBC에 따르면 앞으로 5년 동안 중국에서 백만장자(100만 달러, 약 ..
'메이드 인 차이나'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사실 그리 긍정적인 이미지는 아닐 것 같습니다. 어디에서 베낀 디자인, 조악한 품질에도 불구하고 값싼 가격으로 많은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이미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중국인들의 입장에서는 '메이드 인 차이나'가 자국의 상품인데요. 그럼에도 중국 브랜드에 대한 신뢰도가 그리 높지 않았습니다. 안전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 위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음식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고 이는 중국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트렸죠. 그러나 이제 이런 이미지는 옛말이 되고 있는데요. 중국 내에서 중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급격히 올라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연 이런 일은 왜 생겼으며, 이런 트렌드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
'인싸'라는 말을 아시나요? 인싸란 인사이더라는 뜻인데요. 각종 행사나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사람들과 잘 어울려 지내는 사람들을 뜻합니다. 이들은 트렌드와 유행에 민감하며 SNS 등을 통해 활발하게 소통합니다. 이들의 행동은 대부분 'FOMO'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요. FOMO란 'Fear of Missing Out'의 줄임말로 자신만 뒤처지거나 소외되어 있는 것 같은 두려움을 가진 증상을 뜻합니다. 물론 유행을 따라가는 현상은 어제오늘 일은 아닌데요. FOMO는 아쉬움, 실망감, 분노, 불안감 등 사람들의 강렬한 감정을 자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많은 명품 브랜드에서는 이런 감정을 자극하며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고 있는데요. 특히 중국 시장에서 이런 마케팅이 통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며 여러 가지..
중국에서는 특정한 날을 기념하는 마케팅이 자주 열립니다. 가장 유명한 11월 11일 광군제 할인 행사부터, 봄 상품 할인 행사를 하는 단오절, 그리고 가전제품 등 주부들이 사용하는 물건을 많이 할인하는 어머니의 날 등이 있죠.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날인 '칠월 칠석'도 그 중의 하나인데요. 중국의 밸런타인데이라고 불리며 연인들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이벤트가 넘쳐나는 날이기도 합니다. 올해 칠월칠석은 8월 25일인데요. 얼마 전 프랑스 명품 브랜드 발렌시아가(Balenciaga)에서는 칠월 칠석 중국의 연인들을 위해 특별한 컬렉션을 출시해 화제가 되는 동시에 논란도 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컬렉션을 공개했을까요? 그리고 이 컬렉션은 왜 논란이 된 것일까요?이 컬렉션은 발렌시아가에서 가장 유명한 가방 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