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매운동으로 수출 막히자 연예인들 앞장서서 홍보하고 있다는 이것의 정체는?

중국은 여러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나라입니다. 중국에서는 '하나의 중국'이라는 슬로건 아래 어떤 소수 민족의 독립도 허용하지 않고 있죠. 중국에 있는 56개 소수 민족 중 가장 독립 의지가 강하면서도 가장 탄압받고 있는 민족이 있는데요. 바로 신장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위구르족입니다.

중국이 신장위구르 지역을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이요는 바로 이 지역의 지리적 특성 때문입니다. 이 지역은 몽골 카자흐스탄, 인도, 파키스탄 등 8개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석유, 셰일가스 등의 천연자원이 풍부하게 있기에 중국 정부에서는 위구르족의 독립을 막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이들을 탄압하고 있죠.

그중의 하나는 바로 '강제 노동'입니다. 호주전략연구소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지난 2017년부터 각종 공장과 일터로 위구르족 노동자를 보냈다고 하는데요. 이들은 분리된 숙소에 머물러야 하며 근로시간 외 표준 중국어 수업과 사상 훈련도 받아야 했죠. 또한 끊임없이 감시당하며 위구르족의 대부분이 무슬림임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종교적 관례도 따를 수 없었다고 합니다. 

이중 많은 위구르 노동자들이 가는 곳은 바로 신장지구의 면화 밭입니다. 미국의 거점 싱크탱크인 국제정책센터 조사에 의하면 중국 정부의 강제 노동에 의해 적어도 57만 명의 위구르인들이 면화 생산에 종사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노동 인원에는 아이들과 노인들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국제사회에 의해 끊임없이 비판받아 왔습니다. 한편 중국 측에서는 '지난 5년간 매년 130만 명에 가까운 노동자들에게 직업훈련을 한 것이며 이는 주민들의 삶을 향상하고 빈곤을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대응했으며, 이에 대해 지적하는 서구 사회를 향해 이는 '내정 간섭'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하기도 했죠.

그리고 얼마 전 이 문제는 중국판 트위터인 웨이보에서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발단은 나이키, H&M 등 유명 브랜드가 신장 면화 강제 노동 착취에 대한 문제를 언급한 것이었습니다. H&M은 지난해 성명에서 '신장의 강제노동과 소수민족 차별 관련 보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면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면화를 구매하는 것을 중단했다'라고 밝혔습니다. 나이키 또한 '나이키는 이 지역에서 제품을 공급받지 않는다'라고 밝혔죠. 버버리, 뉴발란스, 아디다스 등도 신장산 면화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에 중국 네티즌들은 이 브랜드에 대한 불매운동을 시작했습니다. 실제로 웨이보에는 나이키 운동화 몇 켤레를 불에 태우는 영상이 올라왔으며, H&M은 중국의 주요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퇴출되었죠. 그리고 이제는 중국 대표 연예인들이 이 해외 브랜드들과 관계를 끊으며 신장 면화 지지 의사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H&M의 모델인 배우 황쉬안, 한국 걸그룹 에프엑스 출신으로 모국인 중국에서 활동 중인 빅토리아 또한 'H&M과 모든 계약을 종료했다'라고 밝히며 이 운동에 동참했습니다.

이뿐만이 아니라 지금까지 총 50명의 중국 연예인들이 신장 면화를 지지한다고 밝혔는데요. 홍콩 출신으로 패션 브랜드를 런칭한 에디슨첸은 나이키와의 협업을 종료하겠다고 밝혔고, 중국 배우 리이펑(이역봉)은 아식스와의 계약을 종료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많은 중국 네티즌들은 '국가의 이익에 어떤 것에 우선한다'면서 이 연예인들의 행동을 지지하고 나섰는데요. 이에 더불어 연예인들은 신장 면화를 홍보하기 위해 신장 면화를 사용한 제품 홍보에 발 벗고 나섰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28일 숏비디오 플랫폼인 콰이쇼우와 CCTV에서는 공동으로 라이브 방송을 통해 신장 면화 제품을 판매했습니다. 라이브 방송의 진행자는 바로 위구르 출신의 방송인 니게마이티였습니다. 그는 많은 연예인들을 게스트로 초청해 라이브 방송을 이어갔죠. 이들은 방송을 통해 '신장 면화는 세계에서 최고 수준이지만 항상 수요가 공급에 미치지 못한다'라고 발했으며, 신장 출신의 중국 배우 우몽롱은 위구르어로 '사랑해'라는 말을 알려주기도 했습니다.

한편 중국 네티즌들이 불매 운동을 벌이며 해외 유명 브랜드를 굴복시킨 것은 하루 이틀 일이 아닙니다. 대부분은 홍콩과 마카오, 그리고 대만을 독립된 나라로 표시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은 브랜드 측의 사과로 일단락되곤 했죠. 그러나 이번 사건은 '인권' 문제가 연루되어 있기에 앞서 언급된 브랜드들이 사과를 하거나 한 발 물러설지에 대해서는 미지수입니다. 과연 이번에도 중국인들은 사과를 받아낼지, 아니면 브랜드에서 기업 윤리를 고수할지 많은 세계인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