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Friday.co.kr
기타이슈 레드프라이데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대통령직에서 물러난지 몇 개월이 지났습니다. 그럼에도 도널드 트럼프의 영향력은 중국의 인터넷에 남아있는 것 같습니다. 얼마 전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이 운영하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타오바오에는 기상천외한 상품이 올라왔습니다. 바로 스님과 같은 복장을 하고 양반다리를 하고 앉아 눈을 감고 두 손을 배꼽에 가지런히 모으며 명상을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의 동상이었습니다. 이 동상은 세라믹으로 만들어졌으며 화이트 컬러로 되어 있어 차분한 느낌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이 동상은 푸젠성 샤먼에 본사를 둔 한 가구업체에서 만들어 판매하는 것인데요. '당신의 회사를 다시 위대하게(Make Your Company Great Again)'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이 동상을 판..
더 읽기
디자인 레드프라이데이
백악관에 새로운 주인이 입성했습니다. 그리고 미국의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부부는 취임식이 열리기 전 에어포스원을 타고 백악관을 떠나 플로리다로 갔죠. 이들의 마지막 순간 또한 화제가 되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검은색 슈트에 강렬한 빨간색 넥타이를 한 채 등장했고, 멜라니아 여사 또한 올블랙 착장으로 백악관을 떠났습니다. 평소 멜라니아 여사의 패션은 항상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곤 하는데요. 이번에도 어김없이 멜라니아 여사의 의상은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바로 패션으로 백악관을 떠나는 멜라니아 여사의 심경을 잘 나타냈다는 분석이었습니다. 과연 그녀의 패션 선택은 어땠을지 함께 만나보겠습니다.백악관을 떠나기 전 멜라니아 여사는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블랙 컬러로 통일했습니다. 먼저 돌체앤가바나의 드레스를 ..
미국의 대선이 드디어 마무리되었습니다. 조 바이든 민주당 대선 후보가 공화당 대선 후보이자 현직 대통령인 도널드 트럼프를 꺾고 제 46대 미국 대통령이 되었죠. 그러나 아직까지 깔끔한 마무리는 되지 않아 보입니다. 바로 트럼프 대통령이 선거에 불복하겠다는 의사를 계속해서 비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후보가 펜실베이니아 주에서 승리했다는 소식이 알려지기 직전 '나는 이번 선거를 상당히 많은 표 차이로 이겼다'라고 트위터에 글을 올렸는데요. 펜실베이니아는 선거인단 수가 20명인 지역이며, 펜실베이니아 주의 개표가 끝나기 전까지는 253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하고 있었기에 펜실베이니아만 승리하면 선거인단의 과반인 270명을 충족시킬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즉, 바이든 후보가 승리를 앞둔 시점..
2020년 11월 3일 미국에서는 대선이 열립니다. 현재 미국 대통령인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와 민주당의 대통령 후보 조 바이든이 한판 대결을 펼치게 되는 것이죠. 현재 미국 내에서는 투표 열기가 뜨겁습니다. 코로나19, 흑인 인권 시위 등 여러 가지 사회 현상이 맞물리며 이런 관심이 드러난 것이 아닐까 예측되고 있습니다. 덩달아 투표를 독려하는 디자인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는데요. 투표 장려 패션에서부터 포스터, 매거진 커버, 인스타그램 움짤 등 여러 방식으로 2020년 미국 대선에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오늘 RedFriday에서는 미국 대선 투표를 독려하는 이색 디자인을 소개할 텐데요. 과연 어떤 작품들이 있으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엽서싱어송라이터 Beatie Wolfe는 아티스트 Mark ..
'왕족'이라는 사회적 위치. 매우 많은 권한이 있을 것 같지만 권한과 함께 반드시 지켜야 할 의무도 있습니다.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는 것도 그중의 하나입니다. 이들의 정치 중립성을 위해 왕실 구성원의 투표를 사실상 금지할 정도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자신의 의견과 메시지를 대중에게 전달할 때가 있습니다. 바로 '패션'을 통해서이죠. 과연 왕족들은 어떤 패션으로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 있을까요? 1. '악마야 물러가라'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은 버킹엄궁을 방문해 엘리자베스 여왕과 국빈 만찬을 가졌습니다. 이때 엘리자베스 여왕은 미얀마에서 선물 받은 루비 티아라를 착용했죠. 이 티아라에는 96개의 루비가 들어 있다고 하네요. 왕립 전시회 웹사이트에 따르면 미얀마 사람들은 루비들이 '미움과 악을 막아..
미국의 영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를 아시나요? 슬로베니아에서 태어났으며 모델 출신으로 2005년 트럼프 대통령과 결혼하여 지금은 영부인이 되었습니다. 모델 출신 다운 패션 소화력과 특유의 도도한 표정으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는데요. 지난 2017년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한국을 방문하기도 했죠. 2019년 7월 멜라니아 트럼프의 고향인 슬로베니아에는 멜라니아 여사의 모습을 묘사한 동상이 세워졌습니다. 보통 한 인물의 동상이 세워질 때는 인물의 업적을 기리고자 존경의 마음을 담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번에는 그렇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동상이 너무 추상적으로 만들어져 '허수아비 같다'라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었습니다. 이 동상은 미국의 예술가 브레이드 다우니(Brade Downey)가 디자인..
한 예술가의 발칙한 작품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바로 성인 용품으로 작품을 만든 것이었습니다. 미국 클리블랜드 출신의 아티스트 스테픈 맨카(Stephen Manka)의 작품입니다. 그가 공개한 작품은 가로 3.6미터, 세로 6미터 크기의 초대형 작품인데요. 2,020개의 금속 성인 용품을 사용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얼굴을 묘사했습니다. 그는 현재 11월 대선을 앞두고 워싱턴 DC, 위스콘신, 댈러스 등의 장소에 이 작품을 전시하기 위해 기금을 모금하고 있습니다. 그는 1.3톤 이상의 성인 용품을 우연히 구하게 되었다고 하는데요. 이 금속 성인 용품들은 녹여질 위기에 처했고, 스테픈 맨카는 이를 가까스로 손에 얻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는 이 물건으로 무엇을 해볼지 고민했고, 처음에는 이 성인 용..
비즈니스 레드프라이데이
'2020 미국 대선 3일 전, 기자회견장에서 끊임 없는 질문을 받고 있는 우리의 트럼프 동지는 재선에 성공할 수 있을까? 그는 조국이 맡긴 임무를 완수할 수 있을까?' 중국의 인디 개발사 '이어스튜디오(Years Studio)'에서 출시한 새 게임에 대한 설명입니다. 이어스튜디오는 곧 PC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에서 새로운 게임을 출시할 예정인데요. 이 게임은 선택 기반형 스토리 게임으로 네 가지 열린 결말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가장 화제가 되는 것은 이 게임의 소재인데요. 바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선 운동을 풍자하는 내용입니다. 게임 이용자들은 트럼프 캐릭터가 되어 게임을 즐길 수 있는데요. 게임 설명에 따라 트윗을 작성하거나, 기자들의 질문에 '가짜 뉴스'라고 외칠 수 있습니다. ..
지난겨울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그리고 바이러스와 함께 확산되고 있는 것이 또 하나 있는데요. 바로 '중국 혐오'입니다. 얼마 전 중국 혐오를 잘 드러내는 사건이 또 한 번 일어나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지난 3월 미국의 프로 인도어 사커팀 볼티모어 블라스트는 20달러짜리 티셔츠를 팀의 굿즈를 판매하는 곳에 공개했습니다. 티셔츠의 앞면은 미국의 성조기가 그려져 있었고 볼티모어 블라스트를 응원하는 문구인 'BLAST'라는 글자와 강인함을 뜻하는 단어 'STRONG'이 적혀있었습니다. 문제는 뒤쪽이었는데요. 빨간색으로 중국 대륙을 그려 넣은 뒤 'CHINA'라고 적어 두고 원형에 대각선 마크를 넣어 '금지'가 떠오는 심벌을 함께 그려넣은 것이죠. 너무나 '중국 혐오'를 드러낸 제..
"우리는 신을 믿고, 비전을 통합하고, 미래를 건설함으로써 미국의 약속을 실현해야 한다. 나는 미국 대통령 #2020VISION을 위해 뛰고 있다" 미국 대통령에 출마한 한 유명인의 트위터 글입니다. 그리고 이 인물은 대통령이라는 직책과는 이미지에 차이가 많이 있기에 논란이 되었죠. 바로 래퍼 칸예 웨스트입니다. 미국의 다수 매체에 따르면 칸예 웨스트가 실제로 대통령 후보가 될 수 있는 확률은 매우 낮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그의 영향력으로 많은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죠.칸예 웨스트의 아내 또한 덩달아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칸예 웨스트의 아내는 미국 최고의 이슈메이커이자 미국의 비호감 스타 1위 킴 카다시안인데요. 킴 카다시안은 힐튼가의 상속녀 패리스 힐튼의 시녀친구로 처음 방송에 등장해 라는 ..
'호주의 뱅크시'라고 불리는 인물이 있습니다. 정체를 모르는 거리 예술가이죠. 그는 몇 년 전부터 유명세를 얻었습니다. 그의 벽화가 논란을 자아냈기 때문입니다. 러시석스(Lushsux)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그는 2017년 멜버른의 한 건물에 힐러리 클린턴의 벽화를 그렸습니다. 그리고 이 벽화 속 힐러리 클린턴은 성조기 모양의 수영복을 입고 있었습니다. 러시석스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이 사진을 올렸고, 며칠 후 그의 계정이 일시적으로 삭제되었습니다. 당국에서도 힐러리 클린턴의 벽화를 지우라는 명령을 내렸습니다. 정치를 떠나 사실상 누드화에 가까우며 모욕적이고 여성에 대한 편견을 담았다는 것이죠. 러시석스는 '흔히 바닷가에서 볼 수 있는 할머니들의 모습을 담았을 뿐'이라고 항변했지만 지우지 않을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해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미국은 코로나19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은 중국이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입장이며 중국은 미국이 새빨간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맞받아치며 양국 간 정면충돌이 일어나고 있죠. 이런 가운데 얼마 전 중국의 공산당과 정부의 공식적 발표를 도맡아 하는 중국의 국영통신사에서 얼마 전 트위터를 통해 1분 46초짜리 애니메이션을 공개했습니다. 내용은 중국이 코로나19 사태에 대해 경고를 하는데도 미국이 이를 무시하다가 결국 미국 내 피해가 커지자 중국에 책임을 돌리는 내용이었습니다. 1) 12월중 : 새로운 바이러스가 발견됐다그래서 뭐? : 미중 : 위험하다 독감일 뿐 : 미중 : 마스크 착용해라 마스크 착용하지 마 : 미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