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Friday.co.kr
비즈니스 레드프라이데이
전 세계적으로 커피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향후 5년 간 커피 시장은 4.2%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는데요. 이에 많은 커피 브랜드에서 커피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애를 쓰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주목하는 한 시장이 있는데요. 이곳은 평균 성장률의 두 배를 훨씬 더 뛰어넘는 약 1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곳은 어디일까요? 바로 중국입니다. 중국의 올해 커피 시장은 1,130억 위안, 우리 돈으로는 약 21조 300억 원 정도라고 하네요. 1. 스타벅스도 긴장해야 할 중국 현지 상황 세계 최대의 커피 프랜차이즈 스타벅스 또한 중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큰 인기를 끌어왔습니다. 스타벅스는 1999년 중국 시장에 진출해 현재 200개의 도시에서 5,0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
더 읽기
'애슬레저룩'을 아시나요? 애슬레저는 '운동'이라는 뜻의 애슬레틱과 '여가'를 뜻하는 레저의 합성어로 스포츠웨어와 일상복의 경계를 머문 패션을 뜻합니다. 대표적인 애슬레저룩에는 레깅스가 있는데요. 원래 요가 등의 운동을 할 때 입는 옷이지만 이제는 꼭 운동을 할 때 뿐만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편하게 입고 다니는 아이템이 되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이후 재택 근무가 늘어나면서 편안한 애슬레저룩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는데요. 특히 중국에서 애슬레저룩에 대한 인기가 커지며 관련 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중국의 데이터 리서치 및 컨설팅 기관인 아이미디어 리서치(iiMedia Research)에 따르면 중국의 피트니스 산업은 2021년 말까지 5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지난 20년..
현재 BTS, 블랙핑크 등이 이끌고 있는 한류 열풍은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2010년부터 한류 열풍은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게 되었는데요. 덩달아 K뷰티 또한 인기를 얻었습니다. 당시 미샤, 더 페이스샵 등의 중저가 브랜드가 아시아권에 진출했고, 큰 흥행을 거뒀습니다. 특히 이런 브랜드는 중국의 보따리상인 따이거우가 사랑하는 아이템이었죠. 그러나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중국에서만 6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해온 에뛰드하우스에서는 오프라인을 전면 폐쇄했고, 더페이스샵 매장은 2018년 철수되었습니다. 지난해 이니스프리는 매장 140ㄱ를 정리했으며 클리오 또한 지난 2019년 로드샵 사업을 정리했습니다. 과연 한국의 중저가 뷰티 브랜드가 떠난 자리에 들어온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바로..
숫자 '1'이 네 개 붙어 있는 날인 11월 11일은 우리나라에서 '빼빼로 데이'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에서 이 날은 '광군제'로 불리는데요. 홀로 서있는 1이 네 개나 있어 '독신의 날'을 뜻하는 날입니다. 12년 전인 2009년 중국 최대의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 그룹에서는 싱글들을 위한 특별한 할인 행사를 시작했는데요. 이는 대박을 쳤고, 이후 대부분의 온라인 쇼핑몰에서 이 할인 행사에 동참하며 '광군제=쇼핑 축제'라는 인식이 생겼습니다. 올해도 광군제 쇼핑 축제가 열렸습니다. 그러나 분위기는 예전만 못했습니다. 과거에는 11월 11일 딱 하루만 쇼핑 행사를 진행했지만 최근에는 10월 말부터 행사를 시작해 약 2주 정도 행사 기간이 길어졌고, 또한 최근 몇 년 간 유명한 왕홍들이 라이브..
기타이슈 레드프라이데이
총기 사용이 허용된 미국에서는 총기로 위협을 받는 일이 종종 일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이곳을 여행하는 사람이라면 총으로 무장한 강도를 조심해야 하는데요. 얼마 전 이런 일을 직접 맞닥뜨린 한 남성의 CCTV 영상이 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영상 속 주인공은 후난성에 위치한 샹탄대학교 행정대학의 저우 교수입니다. 저우 교수는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교환 교수로 일하기 위해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막 도착한 참이었죠. 저우 교수는 골목길에서 예약한 호텔을 찾고 있었고 이 순간 검은색 옷을 입고 검은 마스크를 쓴 한 남성이 저우 교수의 머리에 총을 겨누었습니다. 아마 저우 교수의 짐을 노른 것이겠죠. 이에 저우 교수는 본능적으로 팔을 들어 강도의 손을 때렸고, 총을 떨어트리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곧 여행..
재벌가 자녀들의 소식은 늘 대중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들의 일거수일투족은 매체나 SNS에서 큰 화제가 되곤 하죠. 중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중국에서도 재벌 2세는 많은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내리는데요. 그중에서도 현재 중국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는 바로 중국 최고의 통신 장비 업체인 화웨이의 막내딸 야오안나입니다. 지난 1월 야오안나는 중국의 SNS를 뒤덮었습니다. 바로 가수로 데뷔한다는 소식 때문이었죠. 그녀는 베이징에 있는 한 연예 기획사와의 계약을 알리는 17분짜리 다큐멘터리를 공개했는데요. 영상 속에서 야오 안나는 '저는 저를 소위 공주라고 생각한 적이 없어요. 또래 아이들과 비슷하게 살아가고 있죠. 좋은 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공부해야 했습니다. 때로는 방황도 했고, 삶에..
지난 2001년 개봉한 영화 를 아시나요? 영화 속에서 선생님으로 출연했던 배우 김광규는 학생들에게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라며 대놓고 부모님의 직업을 물었습니다. 는 80년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기에 이런 일들이 가능했죠. 또한 약 5년 전 조사에 따르면 전국 75개 사립초등학교 중 33%가 입학지원서에 부모의 직업 정보를 요구했는데요. 심지어 인천의 한 초등학교에서는 부모님의 학력 정보도 기재하도록 하며 큰 논란이 되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학교에서는 부모님의 직업 정보를 묻지 않고 있는데요. 옆 나라인 중국에서는 사정이 좀 다른 것 같습니다. 부모님의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에 따라 학생들을 분류했기 때문입니다. 과연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국 산시성 신저우에 위치하고 있..
디자인 레드프라이데이
'어드벤트 캘린더(advent calendar)'를 아시나요? 어드벤트는 크리스마스 직전 25일간, 즉 12월 1일부터 `12월 25일까지를 뜻하고, 캘린더는 '달력'을 의미하는데요. 이에 12월 1일부터 12월 25일까지 매일 한 장씩 넘기는 달력처럼 매일 하나씩 달려의 날짜가 적힌 상자 안 선물을 꺼낼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것입니다. 12월 1일부터 크리스마스까지 매일 선물을 받는 것이죠. 이 문화는 1990년대 독일에서 크리스마스를 기다리던 아이들에게 매일 초콜릿이나 사탕을 주던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는데요. 지금은 많은 브랜드에서 어드벤트 캘린더를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며 널리 알려지고 있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많은 브랜드에서 어드벤트 캘린더를 출시했습니다. 샤넬도 그중의 하나입니다. 샤넬은 올..
아이를 키우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녀의 양육 방식에 대한 고민을 합니다. 특히 아이의 자율성을 존중해야 하는지, 아니면 아직 자기 조절 능력이 미숙한 아이를 위해 부모가 이끌어줘야 하는지 사이에서 갈팡질팡 하는 부모들이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10년 전에는 '타이거 맘'이라는 양육 방식이 유행하기도 했는데요. 이는 엄격하게 훈육하고 간섭하면서 자녀를 혹독하게 교육하는 어머니를 지칭하는 것입니다. 이는 미국 예일대의 에이미 추아 교수의 저서 라는 책을 통해 소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방식으로 큰 딸 소피아가 2011년 하버드대와 예일대에 동시에 합격하며 '타이거맘'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사실 이 방식은 미국으로 이민간 중국 교포 1세대들이 자녀에게 사용하는 방식이었는데요. 자녀들이 미국의 일류 대학에 다..
패션 소매 시장에서 중국의 입김은 대단합니다. 막강한 인구수에서 나오는 폭발적인 소비력은 어떤 브랜드라도 탐날만한 시장이죠. 특히 이들의 경제 수준이 점점 높아지며 구매력도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이에 많은 글로벌 브랜드에서는 중국 시장을 잡기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냅니다. 그리고 많은 글로벌 브랜드에서 사용하는 '현지화 전략'이 있는데요. 바로 패션 업계에서 지난 몇 년 유행했고, 지금도 유행하고 있는 '협업'입니다. 이들은 중국 브랜드, 혹은 중국 디자이너와 협업해 중국 소비자들의 취향을 저격하고, 이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사실 글로벌 브랜드는 중국 현지 디자이너 비해 더 인지도가 높고 자금력도 막강한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디자이너들을 모셔오기 위해 애를 쓰고 있다는 후문입니다. 오늘 ..
지난 10월 31일은 할로윈 데이였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할로윈 데이를 즐기기 위해 분장을 했고, 핫플레이스로 몰려들었죠.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디즈니랜드도 그중의 하나였습니다. 해가 지기를 기다리던 많은 관광객들은 디즈니랜드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었는데요. 오후 6시가 되자 청천벽력과 같은 공개 방송이 들렸습니다. '모든 시설에 대한 입장이 전면 중단'되고 '디즈니랜드에서 나가는 것도 금지'된다는 것이었죠. 당시 디즈니랜드에는 총 33,863명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왜 이들은 디즈니랜드에 감금되어야 했을까요? 모든 사건의 발단은 한 명의 확진자 때문이었습니다. 장시성 상라오에 살고 있는 A씨는 이틀 전인 금요일에 기차를 타고 상하이로 왔습니다. 그리고 토요일에는 디즈니랜드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죠..
유교의 문화가 있는 우리나라에서는 노인 공경이 중요한 미덕 중의 하나입니다. 우리나라만 그런 것은 아닌데요. 중국 또한 같은 유교 문화권에 있기에 많은 지혜를 가지고 있는 노인들을 공경해왔으며 절기를 통해 이를 기리고 있기까지 합니다. 바로 '중양절'입니다. 중양절은 매년 음력 9월 9일인데요. 중국에서 숫자 9는 '오래되다, 오래가다'라는 단어와 발음이 같습니다. 이에 9가 두 번 들어있는 9월 9일은 노인을 공경한다는 의미로 전 사회적으로 노인을 공경하고 도와주는 날인 '노인의 날'이 된 것이죠. 중국에서는 중양절을 맞아 다양한 '실버 콘텐츠'를 선보였습니다. 숏 비디오 플랫폼인 더우인에서는 중국 노인들이 디지털 사회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보여주는 영상을 공개했는데요. 영상 속 노인들은 성..